출간예정도서
2011. 8. 10. 00:54
8월 22일 로드북의 두번 째 책이 출간됩니다. <사람과 프로그래머> 시리즈 두 번째입니다. 이번주에는 온라인 서점 예약판매를 할 예정입니다.
음, 이 책을 어떻게 소개할까 고민이 많이 되네요. 헤드 카피을 다음과 같이 뽑았는데, 조금 추상적이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인문학적 접근 !!
이 책을 기획하기 위해 저자 이호종님의 블로그 글을 거의 모두 다 읽었던 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어떻게 하면 더 잘, 더 효율적으로, 생고생하지 않고, 제대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을까에 관해 많은 고민을 하셨던 것 같습니다.
이호종님 블로그 가기
무엇보다 블로그 글에서 개발자 출신이 아닌 저도 밑줄 긋고 싶은 말이 참 많았습니다. 이 세상의 수많은 터프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화할 수 있는 공통적인 부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통찰(인사이트)을 정리해내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인문학적 영역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개발방법론에만 함몰되어 남들이 좋다 하니 그것을 그대로 실천하려는 자세를 벗어나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속한 환경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그 다음에 적합한 방법론을 선택하자는, 기존 책들과는 거꾸로 개발방법론을 배워보자는 컨셉을 도출하게 되었습니다.
어려운 얘기를 써놓지 않았습니다. 누구나 읽고 공감할 수 있는 쉬운 얘기를 써놓았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도 조직에 대해, 사람에 대해 참으로 많이 고민했구나를 느꼈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엄청나게 다독하는 습관으로 다져진 인문학적 소양이 더해져 부드럽게 섭취할 수 있는 주제가 가득합니다.
개발자도 봐야 하지만, 오히려 팀장님, 사장님과 같은 관리자가 더 많이 보았으면 합니다. 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지, 왜 개발자가 중요한지, 왜 방법론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 개발자, 관리자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공감하여 좀더 나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 도움을 줄 수 있길 기대합니다.
음, 이 책을 어떻게 소개할까 고민이 많이 되네요. 헤드 카피을 다음과 같이 뽑았는데, 조금 추상적이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인문학적 접근 !!
이 책을 기획하기 위해 저자 이호종님의 블로그 글을 거의 모두 다 읽었던 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어떻게 하면 더 잘, 더 효율적으로, 생고생하지 않고, 제대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을까에 관해 많은 고민을 하셨던 것 같습니다.
이호종님 블로그 가기
무엇보다 블로그 글에서 개발자 출신이 아닌 저도 밑줄 긋고 싶은 말이 참 많았습니다. 이 세상의 수많은 터프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화할 수 있는 공통적인 부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통찰(인사이트)을 정리해내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인문학적 영역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개발방법론에만 함몰되어 남들이 좋다 하니 그것을 그대로 실천하려는 자세를 벗어나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속한 환경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그 다음에 적합한 방법론을 선택하자는, 기존 책들과는 거꾸로 개발방법론을 배워보자는 컨셉을 도출하게 되었습니다.
어려운 얘기를 써놓지 않았습니다. 누구나 읽고 공감할 수 있는 쉬운 얘기를 써놓았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도 조직에 대해, 사람에 대해 참으로 많이 고민했구나를 느꼈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엄청나게 다독하는 습관으로 다져진 인문학적 소양이 더해져 부드럽게 섭취할 수 있는 주제가 가득합니다.
개발자도 봐야 하지만, 오히려 팀장님, 사장님과 같은 관리자가 더 많이 보았으면 합니다. 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지, 왜 개발자가 중요한지, 왜 방법론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 개발자, 관리자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공감하여 좀더 나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 도움을 줄 수 있길 기대합니다.
'출간예정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간완료!!] 빅 데이터 시대를 위한 NoSQL 핵심 가이드(12월) (0) | 2011.12.14 |
---|---|
[출간완료!!] 웹 디자이너를 위한 jQuery (8) | 2011.11.08 |
[출간완료!!] 프로그래밍 콘테스트 챌린징 (6) | 2011.10.04 |
[출간완료!!]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HTML5 + CSS3: 실전 웹 표준 사이트 제작까지 (0) | 2011.06.20 |
[출간완료!!] 프로그래머 그 다음 이야기 (2) | 2011.06.16 |
편집자노트
2011. 8. 3. 11:14
편집자마다 교정을 보는 방식이 많이 다르다. 형식을 좀더 비중있게 보는가 하면 컨텐츠의 정확성에 더 비중을 두는 이도 있다.
교정에 있어 중요한 게 뭔지 생각해보았다.
누구나 새롭게 어떤 일을 시작하면 자세나 열정이 최고조에 이른다. 편집자도 조판되어 나온 원고를 처음 만나면 눈빛부터가 다르다. 이것저것 연구도 많이 한다. 문장도 몇번씩 곱씹어본다. 저자 요청사항도 꼼꼼하게 정리해둔다. 문제는 시간이 흐르면서 처음의 각오와 자세가 흐려진다는 데 있다.
처음과 끝이 같아야 일관된 품질이 나오는 것 같다. 오랫만의 교정을 하다보니 기복이 심했던 것 같다. 들락날락이 있다보니 실수가 나온다.
무슨 일이든 뚜벅뚜벅 처음의 페이스로 끝까지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교정에 있어서도 역시 마찬가지다. 마지막에 스퍼트를 내서 마감을 지을 수 있는 100m 달리기와는 분명 다르기 때문이다.
처음과 끝의 일관성(집중도, 열정, 투자시간 등등)이 교정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교정에 있어 중요한 게 뭔지 생각해보았다.
누구나 새롭게 어떤 일을 시작하면 자세나 열정이 최고조에 이른다. 편집자도 조판되어 나온 원고를 처음 만나면 눈빛부터가 다르다. 이것저것 연구도 많이 한다. 문장도 몇번씩 곱씹어본다. 저자 요청사항도 꼼꼼하게 정리해둔다. 문제는 시간이 흐르면서 처음의 각오와 자세가 흐려진다는 데 있다.
처음과 끝이 같아야 일관된 품질이 나오는 것 같다. 오랫만의 교정을 하다보니 기복이 심했던 것 같다. 들락날락이 있다보니 실수가 나온다.
무슨 일이든 뚜벅뚜벅 처음의 페이스로 끝까지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교정에 있어서도 역시 마찬가지다. 마지막에 스퍼트를 내서 마감을 지을 수 있는 100m 달리기와는 분명 다르기 때문이다.
처음과 끝의 일관성(집중도, 열정, 투자시간 등등)이 교정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편집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비판적 읽기가 선행되어야 (0) | 2011.08.23 |
---|---|
출판에 관한 짧은 생각 (0) | 2011.08.18 |
책의 라이프사이클, 그리고 편집자 (0) | 2011.07.07 |
색의 미학 (0) | 2011.07.01 |
훨씬 똑똑해지고 좋아진 맞춤법 검사기 (0) | 2011.06.20 |
IT 포스팅
2011. 8. 2. 17:34
오늘은 로드북의 두 번째 책 <거꾸로 배우는 소프트웨어 개발>(8월 출간 예정)에서 컬럼에 들어있는 내용의 일부를 발췌하였습니다. 역시 아래 삽화는 아래 카피라잇만 포함한다면 상업적 용도외에 모든 곳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재미있게 해본다든지 할 때 활용해보세요.
ⓒ 로드북, <거꾸로 배우는 소프트웨어 개발>(이호종 저, 2011)
-----------------------------------------------------------
참고로, 이 책은 <사람과 프로그래머> 시리즈 두 번째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해 인문학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
"여러분은 어떤 단계에 있는지, 그리고 어떤 목표를 갖고 정진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 로드북, <거꾸로 배우는 소프트웨어 개발>(이호종 저, 2011)
-----------------------------------------------------------
참고로, 이 책은 <사람과 프로그래머> 시리즈 두 번째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해 인문학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
"여러분은 어떤 단계에 있는지, 그리고 어떤 목표를 갖고 정진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⑤ Novice 초보자: 노란색 햇병아리. 계속 이 단계에만 머물면, 정말 앞날이 노래진다. 초보자에서 직업인으로, 그리고 전문가로 성장해가기 위해서는 왼쪽 화살표 막대처럼 노란색 햇병아리의 초심을 잃지 않고 정진해야 한다.
④ Professional 직업인: 초록빛 신록처럼 싱싱하고 쑥쑥 자란다. 너무 햇볕 안 드는 외진 응달에 자리잡으면 못 자란다. 땅이 척박하면 말라 죽는다. 땅을 잘 골라야 한다.
③ Expert 전문가: 오행(五行)에서 말하는 재물운인 황토(黃土)의 기운이 넘친다. 해당 분야에서 터를 잡았다. 직업인 가운데 성실과 끈기로 노력한 사람이 오르는 단계. 재능은 단지 속도의 문제다. 재능이 넘치는 사람은 조금 빨리 이 단계에 들어서고, 재능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단지 도달하는 시간이 좀 길어질 뿐이다. 이젠 생존의 압박으로부터는 자유롭다.
② Genius 천재: 붉게 타오른다. 하늘에서 별처럼 내려온다. 이건 타고 나야 한다. 하지만, 탄착점이 좁다는 거, 내려오다 잘못하면 그냥 미끄러지는 수가 있다. 선천적인 재능에 후천적인 약간의 노력이 더해지면, 이들은 비교적 쉽게 Guru의 단계에 안착한다.
① Guru 스승: 보랏빛 고귀한 존재. 전문가 가운데 극히 소수만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단계. 전문가에서 구루가 되려면 연속적이고 지속적인 노력보다는 도약이 필요하다.
'IT 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5.4 & Ruby 1.8.7 설치 가이드 (0) | 2011.11.15 |
---|---|
3탄_Scrum의 돼지와 닭 이야기 (0) | 2011.08.12 |
CSS에서 중요한 개념인 마진과 패딩 (0) | 2011.07.23 |
1탄_거꾸로 배우는 소프트웨어 개발 (0) | 2011.07.19 |
JCO 11회_개발자 역량이 많이 높아진 듯 (0) | 201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