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노트 2011. 5. 27. 15:31
편집자로 성장한다는 것, 각 분야별로 많이 다를 것 같기도 하다.
나는 전문서 분야에서 편집자로 성장했기 때문에 주로 이 분야에서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 사실 다른 분야는 기웃거리지도 않았고 흥미가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맨처음 나에게 편집자로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텍스트와 페이지의 압박이었다. 첫 책이 번역서였는데, 500여 페이지가 넘었으니. 사실, 지금은 200페이지나 800페이지나 비슷한 압박으로 다가오지만. 당시는 페이지에 따라 그 압박 규모가 달라졌던 것 같다. 거기엔 난이도도 있었지만.

내가 전문서 분야에서 편집자로 성장한다는 것은, 텍스트나 페이지의 압박에서 점점 벗어나는 과정이었던 것 같다. 단순히 시간이 가기때문에 기능공처럼 익숙해져가는 게 아니라 어떤 단계에서 어떻게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하는 스케줄링 능력과 각 단계에서 돌발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능력이 점점 나아지면서 자연스레 그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 같다. 하나 더 추가한다면 첫 단추에 해당하는 설계능력이 또 한 가지 있겠지만.

처음이건 지금이건 모든 텍스트는 편집자의 날카로운 눈을 거쳐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편집자가 추정이나 예측에 의해 텍스트를 판단하고 시장에 내보내는 것만큼 위험한 일은 없는 것 같다. 그만큼 텍스트를 만지는 것은 노가다가 바탕에 깔려있어야 하지만, 생각없는 노가다는 편집자의 심신만 지치게 할 뿐, 성장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런데 나중에 나는 후배들을 어떻게 키워내야 할까? 아직 첫 깃발(첫책)도 꽂지 못한 내가 너무 먼 미래를 내다보는 것은 아닌지.
이미 이전 출판사에서 시니어편집자로서 경험이 있기 때문인지 그런 미래가 설렘보다는 긴장감으로 다가온다.


posted by 로드북
:
편집자노트 2011. 4. 30. 00:58
기획은 필이다
필 받을 때 글을 일필휘지하는 것처럼 몰아부쳐야 한다.

최고를 섭외하라. 그리고 추천을 받으라. 최고는 최고를 추천한다.

기획은 리듬이다.
적당한 긴장은 좋지만 방방 뜨지 말라.

리듬을 타라.
어떤 땐 빠르게 어떤 땐 지독히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라.

기획은 널리 알려라
아이디어는 누구나 낼 수 있다. 구현의 문제이지 보안의 문제가 아니다. 감추지말고 많은 사람들에게 오픈하라.

기획은 확신 30%에서 시작하라.
그 뒤에 불확실성을 제거해가는 작업이 기획이다. 확신 50%가 넘을 때 베팅하라. 리스크없이 어떻게 결과를 바라는가.

음....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ed by 로드북
:
편집자노트 2011. 4. 29. 11:35
인기 있는 주제의 경우, 출판사가 조금 뒤늦게 주제 발굴을 했을 때 기획 당시뿐만 아니라 원고가 진행되는 중간중간에도 경쟁서는 불쑥불쑥 튀어나온다.

독자는 당연히 여러 초이스를 할 기회가 있기 때문에 좋지만, 편집자는 애가 타기 마련이다. 특히나 진행되고 있는 책의 컨셉이나 강점이 경쟁서에도 나타날 때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다가 경쟁서를 자세히 훑어보고 안도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읽어보았는데 "나보다 센놈이다" 할 때는 정말이지 눈앞이 캄캄하다. 물론 센놈의 정의는 컨셉, 범위, 깊이 등의 여러 관점에서 세다는 의미다. 모든 관점에서 세면 독보적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이다.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시장 선점은 항상 달콤한 유혹이다. 능력의 척도로 생각하기도 하며 기민함으로 칭송받을 때도 있다. 그러나 선점이 "빠르다"라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출판의 속성상 단권승부가 아니기 때문에 "언젠가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생각으로 어느 것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만의 보폭으로 뚜벅뚜벅 걸어가는 게 결국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인 것 같다.

나도 내가 뛸 수 있는 보폭보다 더 큰 것은 아닌지 뒤를 자꾸 돌아보는 습성이 생겼다. 어디에서 경망스럽게 폴짝폴짝 뛰어오지는 않았는지, 어디에서 약한 모습 보이며 축 늘어진 발자국은 없었는지.

화창한 금요일 오후, 아메리카노가 맛있다!



posted by 로드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