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노트
2011. 4. 30. 00:58
기획은 필이다
필 받을 때 글을 일필휘지하는 것처럼 몰아부쳐야 한다.
최고를 섭외하라. 그리고 추천을 받으라. 최고는 최고를 추천한다.
기획은 리듬이다.
적당한 긴장은 좋지만 방방 뜨지 말라.
리듬을 타라.
어떤 땐 빠르게 어떤 땐 지독히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라.
기획은 널리 알려라
아이디어는 누구나 낼 수 있다. 구현의 문제이지 보안의 문제가 아니다. 감추지말고 많은 사람들에게 오픈하라.
기획은 확신 30%에서 시작하라.
그 뒤에 불확실성을 제거해가는 작업이 기획이다. 확신 50%가 넘을 때 베팅하라. 리스크없이 어떻게 결과를 바라는가.
음....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필 받을 때 글을 일필휘지하는 것처럼 몰아부쳐야 한다.
최고를 섭외하라. 그리고 추천을 받으라. 최고는 최고를 추천한다.
기획은 리듬이다.
적당한 긴장은 좋지만 방방 뜨지 말라.
리듬을 타라.
어떤 땐 빠르게 어떤 땐 지독히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라.
기획은 널리 알려라
아이디어는 누구나 낼 수 있다. 구현의 문제이지 보안의 문제가 아니다. 감추지말고 많은 사람들에게 오픈하라.
기획은 확신 30%에서 시작하라.
그 뒤에 불확실성을 제거해가는 작업이 기획이다. 확신 50%가 넘을 때 베팅하라. 리스크없이 어떻게 결과를 바라는가.
음....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편집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자서평의 추억 (0) | 2011.05.27 |
---|---|
편집자는 어떻게 성장해야 할까? (5) | 2011.05.27 |
비슷한 주제의 경쟁서가 먼저 쏟아져 나오고 있을 때 (0) | 2011.04.29 |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교과서_일본 책 검토 (0) | 2011.03.31 |
출판세무 강의...from CPA 유종근님, Thank you for 책공장 (0) | 2011.03.25 |
편집자노트
2011. 4. 29. 11:35
인기 있는 주제의 경우, 출판사가 조금 뒤늦게 주제 발굴을 했을 때 기획 당시뿐만 아니라 원고가 진행되는 중간중간에도 경쟁서는 불쑥불쑥 튀어나온다.
독자는 당연히 여러 초이스를 할 기회가 있기 때문에 좋지만, 편집자는 애가 타기 마련이다. 특히나 진행되고 있는 책의 컨셉이나 강점이 경쟁서에도 나타날 때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다가 경쟁서를 자세히 훑어보고 안도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읽어보았는데 "나보다 센놈이다" 할 때는 정말이지 눈앞이 캄캄하다. 물론 센놈의 정의는 컨셉, 범위, 깊이 등의 여러 관점에서 세다는 의미다. 모든 관점에서 세면 독보적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이다.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시장 선점은 항상 달콤한 유혹이다. 능력의 척도로 생각하기도 하며 기민함으로 칭송받을 때도 있다. 그러나 선점이 "빠르다"라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출판의 속성상 단권승부가 아니기 때문에 "언젠가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생각으로 어느 것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만의 보폭으로 뚜벅뚜벅 걸어가는 게 결국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인 것 같다.
나도 내가 뛸 수 있는 보폭보다 더 큰 것은 아닌지 뒤를 자꾸 돌아보는 습성이 생겼다. 어디에서 경망스럽게 폴짝폴짝 뛰어오지는 않았는지, 어디에서 약한 모습 보이며 축 늘어진 발자국은 없었는지.
화창한 금요일 오후, 아메리카노가 맛있다!
독자는 당연히 여러 초이스를 할 기회가 있기 때문에 좋지만, 편집자는 애가 타기 마련이다. 특히나 진행되고 있는 책의 컨셉이나 강점이 경쟁서에도 나타날 때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다가 경쟁서를 자세히 훑어보고 안도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읽어보았는데 "나보다 센놈이다" 할 때는 정말이지 눈앞이 캄캄하다. 물론 센놈의 정의는 컨셉, 범위, 깊이 등의 여러 관점에서 세다는 의미다. 모든 관점에서 세면 독보적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이다.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시장 선점은 항상 달콤한 유혹이다. 능력의 척도로 생각하기도 하며 기민함으로 칭송받을 때도 있다. 그러나 선점이 "빠르다"라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출판의 속성상 단권승부가 아니기 때문에 "언젠가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생각으로 어느 것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만의 보폭으로 뚜벅뚜벅 걸어가는 게 결국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인 것 같다.
나도 내가 뛸 수 있는 보폭보다 더 큰 것은 아닌지 뒤를 자꾸 돌아보는 습성이 생겼다. 어디에서 경망스럽게 폴짝폴짝 뛰어오지는 않았는지, 어디에서 약한 모습 보이며 축 늘어진 발자국은 없었는지.
화창한 금요일 오후, 아메리카노가 맛있다!
'편집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자는 어떻게 성장해야 할까? (5) | 2011.05.27 |
---|---|
기획은 필(feel)이다? (0) | 2011.04.30 |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교과서_일본 책 검토 (0) | 2011.03.31 |
출판세무 강의...from CPA 유종근님, Thank you for 책공장 (0) | 2011.03.25 |
샐러리맨의 추억_문서작업의 자발성 (0) | 2011.03.24 |
IT 포스팅
2011. 4. 22. 10:16
한번 들어보세요~~~.
사이트는 요기에서 퍼왔습니다.
http://15daysofjquery.com/
사이트는 요기에서 퍼왔습니다.
http://15daysofjquery.com/
jQuery Demo - Expandable Sidebar Menu from John Resig on Vimeo.
'IT 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탄_거꾸로 배우는 소프트웨어 개발 (0) | 2011.07.19 |
---|---|
JCO 11회_개발자 역량이 많이 높아진 듯 (0) | 2011.06.21 |
프로그래머 그 다음, 아키텍트? (2) | 2011.04.22 |
코더로서 프로그래머, 그 다음은? (0) | 2011.04.20 |
ActiveX가 드디어 퇴출될 모양이네요. (0) | 201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