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탈자 정보 2011. 10. 11. 12:09
(오탈자 신고: chief@roadbook.co.kr 또는 댓글로 남겨주세요)


2011년 11월 7일 현재

-------- p.30(1째줄)_1쇄--------
오류: Lcm
수정: L cm
--------------------------------------

-------- p.31(표에서)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1048567
수정: 1048576
--------------------------------------

-------- p.52(15째줄)_1쇄--------
오류: d[iㄴ][j]
수정: d[i][j]
--------------------------------------

-------- p.57(아래에서 3째줄)_1쇄 --------
오류: 6(500원짜리 1개, 50원짜리 2개, 5원짜리 2개 합계 6개)
수정: 6(500원짜리 1개, 50원짜리 2개, 10원짜리 1개, 5원짜리 2개 합계 6개)
---------------------------------------------------------------------

-------- p.64(그림 정정)_1쇄 --------
오류 : 맨 오른쪽 좌표값 50 누락


수정:


---------------------------------------------------------------------

-------- p.71_1쇄--------
(정현환님 제보)
"동적 설계법(dynamic programming)"이라는 용어와 241페이지의 "동적 계획법"은 같은 용어입니다. "동적 계획법으로 통일합니다.
--------------------------------------

-------- p.74_1쇄----------------------------------------------------
(정현환님 제보)
memset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는 "int 배열과 같은 각 원소에 할당된 크기가 1byte보다 큰 배열일 경우다."로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겠습니다.
----------------------------------------------------------------------

-------- p.74 & p.88_1쇄---------------------------------------------
(정현환님 제보)
74페이지의 LCS(최장 공통 부분열)은 <최장 공통 부분 서열(혹은 수열)>이라는 용어도 함께 쓰임을 알려드립니다.
88페이지의 LIS(최장 증가 부분열) 역시 <최장 증가 부분 서열>이라는 표현도 함께 쓰임을 알려드립니다.
------------------------------------------------------------
-------- p.74(마지막 줄 수식에서)_1쇄 ---------------------------------------------
오류: max(dp[i+1][j], dp[i+1][j-w[i]+v[i]) (그외) 
수정: max(dp[i+1][j], dp[i+1][j-w[i]]+v[i]) (그외) 
--------------------------------------

-------- p.79_1쇄(DP 테이블에서)--------------------------------------
(장원영님, 궁금님 제보)
오류: j/i
수정: i/j
---------------------------------------------------------------------- 

-------- p.86(마지막 소스 바로 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dp[i+1][j] = (0 <= k <= m_i 그리고 k x a_i<=j에서 dp[i][j-k x a_i]가 참이 되는 k가 존재한다. 
수정:  dp[i+1][j] = (0 <= k <= m_i 그리고 k x a_i<=j에서) dp[i][j-k x a_i]가 참이 되는 k가 존재한다. 
--------------------------------------

-------- p.86(아래 수식 바로 윗단락 2째줄)_1쇄--------
(장원영님 제보)
오류: K(>0)
수정: k(>0)
-------------------------------------- 

-------- p.87(마지막 수식)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1(j<a) 또는 dp[i+1][j-a_i]<= 0
수정: -1 (j<a_i 또는 dp[i+1][j-a_i] ≦ 0)
--------------------------------------

-------- p.100(소스 9번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heap[i]=x;
수정: 인덴트 오류입니다. 들여쓰기가 한번 더 되어야 합니다.
--------------------------------------

-------- p.107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p108의 bool타입의 find 함수명 부분  
수정: 인덴트 오류입니다. 들여쓰기가 한칸 빠져야 합니다.
오류: p109의 마지막 else 부분  
수정: 인덴트 오류입니다. 들여쓰기가 한칸 추가되어야 합니다.
--------------------------------------

-------- p.107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자식 노드 11과 17이 길을 잃습니다.  
수정: 자식 노드 10과 17이 길을 잃습니다.
--------------------------------------

-------- p.110(소스 아래에서 5째줄, 2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printf("%d\n", *ite);  과  return 0;
수정: 인덴트 오류입니다. 들여쓰기가 한칸 추가되어야 합니다.
--------------------------------------

-------- p.134(본문 3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d[i]=d[i]+(i부터 j의 변(edge)의 코스트)
수정: d[j]=d[i]+(i부터 j의 변(edge)의 코스트)
--------------------------------------
 
-------- p.137(소스 위 2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음의 폐로가 있는지 없는지는 d[i][j]가 
수정: 음의 폐로가 있는지 없는지는 d[i][i]가
--------------------------------------

-------- p.137(8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d[O][i] 
수정: d[0][i]
--------------------------------------

-------- p.137(13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d[k][[i] 
수정: d[k][i]
--------------------------------------

-------- p.148(3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d[i+1]+O>=d[i] 
수정: d[i+1]+0>=d[i]
--------------------------------------

-------- p.150(small과 Large 제약조건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x_1, y_1   x_1, y_1
수정: x_i, y_i     x_i, y_i
--------------------------------------

-------- p.151(아래에서 10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v_2가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y_1 < y_2 이 되는
수정: v_2가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y_i < y_j 이 되는
--------------------------------------
 
-------- p.154(4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00...010...0
수정: 00...0, 10...0
--------------------------------------

-------- p.155(아래에서 5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a_1,a_2,a_Q
수정: a_1, a_2, ..., a_Q
--------------------------------------

-------- p.157(소스  중간의 for문 인덴트 오류)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dp[q][q + 1] = 0;
수정: 들여쓰기 해야 함
--------------------------------------

-------- p.164(마지막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y1-y2=0
수정: |y1-y2|=0
--------------------------------------

-------- p.173_1쇄--------
(정현환님 제보)
오류: 제곱승
수정: 거듭제곱
--------------------------------------

-------- p.173(아래에서 4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Biginteger
수정: BigInteger
--------------------------------------

-------- p.178(박스안 1째줄)_1쇄--------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a_1 >= k
수정: a_i >= k
--------------------------------------

-------- p.165(아래에서 3째줄)_1쇄 --------
오류 : O와 c의 최대공약수는
수정: 0와 c의 최대공약수는
-----------------------------------------  

-------- p.182(Column 4째줄)_1쇄 --------
오류 : 10-30배가 되어
수정: 10^-30배가 되어
-----------------------------------------  

-------- p.185(수식 설명 부분)_1쇄 --------
(ChanMin Kim님 제보) 
오류


수정

 
-----------------------------------------  
 
-------- p.242 외_1쇄 --------
(정현환님 제보)
오류 : 메모화
수정: 메모이제이션
-----------------------------------------   

-------- p.315_1쇄 --------
(정현환님 제보)
오류 : 지금까지 소개한 기법을 이용해서, GCJ에 의해 발전된 문제를 실제로 해결해봅시다.
수정:  GCJ 문제 중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이용해서 좀 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봅시다.
-----------------------------------------    

-------- p.327(박스 안 1째줄)_1쇄 -------------
(정현환님 제보)
오류 : 기하의 문제
수정:  기하 문제
-----------------------------------------  

-------- p.348_1쇄 --------
(정현환님 제보)
포제원리는 '포함-배제 원리' 라는 용어와 같습니다.
-----------------------------------------  

-------- p.428_1쇄 --------
(정현환님 제보)
'다배장 연산(bignum arithmetic)'은 '큰수 연산(big-number arithmetic)'이라는 표현과 같습니다.
-----------------------------------------  

--------계산량이라는 용어에 대해--------
(정현환님 제보)
"계산량은 O(X)다" 라는 표현이 많이 보이는데, 보통 big-Oh notation에 대해서는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로 표기를 합니다만, 계산량이라는 용어를 일부러 계속 넣은 것은, 알고리즘 용어보다는 계산하는 양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되었습니다. 시간 복잡도라고 했다면 책이 조금 무거워질 것 같아 계산량이라는 표현 그대로 사용했으니 참고 바랍니다.
-----------------------------------------------------

--------하프만이라는 용어에 대해--------
(ChanMin Kim님 제보)
"하프만"은 "허프만" 또는 Huffman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됩니다. 
(근거: http://word.tta.or.kr/index.jsp 에서 허프만 포함하는 결과 검색)
------------------------------------------------------ 



posted by 로드북
:
출간예정도서 2011. 10. 4. 13:04
부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for GCJ, TopCoder, ACM/ICPC, KOI/IOI

부제 그대로 국제/국내 프로그래밍 콘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한 책입니다. 현업 프로그래머도 "생각의 뇌"를 강화하기 위해 학습해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들은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주어지는 입력이 단순하기 때문에 손으로 그림을 그려가면서 풀어보면 대부분 풀리는 문제들입니다. 하지만, 이것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즉, 주어진 제한조건하에) 상당히 많은 알고리즘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 책이 여러 유용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시험만을 준비하기 위해 문제유형와 해법을 달달 외우기만 한다면, 프로그래밍 능력에서 중요한 요소인 창의력과 끈질기게 해법에 도전하는 지구력은 결코 얻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이 책을 학습할 때 생각의 깊이를 좀더 깊게 파고 창의적 사고의 너비를 좀더 넓게 두었으면 좋겠습니다. 누구에게는 힘든 정신적 노동일 수 있고 누구에게는 뇌속에서 우러나는 소리없는 땀이 주는 맛을 크게 맛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 번 도전해보세요!

다음 그림은 이 책의 예제 중 하나입니다.

 
보면 아시겠지만, 눈으로 풀어도 출력값은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너비우선탐색'이라는 특수한 알고리즘 기법이 필요합니다. 너비우선탐색을 알고리즘 책으로 무진장 많이 학습했다고 해서 쉽게 그러한 알고리즘 기법을 떠올리지는 못하겠죠?

이 책은 바로 이론적으로만 알고있는 알고리즘 지식을 어떤 상황에서도 생각해내서 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책입니다. 물론, 간단하게 이론을 정리해서 설명해주기도 합니다.

표지를 첨부합니다. 한번 살펴보세요. 약간 강하게 헤드카피를 적어보았습니다." 참, 올 겨울 방학때 대학생이라면 한번 이 책에 도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알고리즘 시험을 치르는 IT 기업의 취업 준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고의 알고리즘을 찾을 때까지 당신의 뇌를 뛰게 하라!!"

 

posted by 로드북
:
신간소개 2011. 9. 22. 02:48




l  저자: 양용석

  l  페이지: 448

  l  판형: 4x6배변형(190x244)

  l  도수: 2

  l  정가: 25,000

  l 발행일: 2011104

  l  ISBN: 978-89-966598-3-9

강의자료 요청하기 
chief@roadbook.co.kr

[이 책은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개정판 바로가기

[강컴] [교보] [리브로] [반디] [11번가]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sample.pdf


_
도서 내용

이 책은 HTML5 CSS3의 새로운 점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지는 않습니다. 웹 표준의 핵심 철학인 "구조와 디자인의 분리"라는 관점에 맞게 달라진 웹 개발 방식을 제대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책의 주목적입니다.

이 책으로 학습하는 독자가 HTML5로 구조를 제대로 설계할 수 있고 CSS3로 정밀하고 자유자재로 디자인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까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3부에서는 최신의 브라우저를 기준으로 HTML5 CSS3를 이용하여 가상이지만 대표할 만한 기업의 웹 표준 사이트를 구축해봅니다. 이 실습 프로젝트를 통해 웹 표준 개발 방식에 충분히 익숙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실전 웹 표준 사이트 살펴보기 css3.zerois.net

_대상 독자

HTML 태그로 아직도 디자인을 하고 있는 현업 웹 디자이너

CSS를 쓰고 있어도 리뉴얼도, 유지보수도 힘든 결과를 내고 있는 웹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

웹 디자이너와 협업을 해야 하는 웹 기획자나 개발자

 _목차

1부 웹 표준과 HTML & CSS의 기초

01장 웹 표준이란

   Section 1 웹 표준의 등장 배경

   Section 2 웹 접근성을 높여주는 웹 표준

   Section 3 환경을 보호하는 웹 표준

   Section 4 사이트 개발 기간의 단축과 유지 보수의 용이성

   Section 5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이트 디자인

02 HTML5 소개

   Section 1 DOCTYPE 정의하기

   Section 2 HTML 문서의 기본 구조

   Section 3 HTML5 XHTML1.0의 차이점

   Section 4 HTML5에서 추가된 태그

   Section 5 HTML5에서 사라진 태그

03장 웹사이트 구조 설계를 통해 살펴 본 HTML5의 장점

   Section 1 HTML 문서의 구조 설계

   Section 2 HTML5를 이용한 HTML 문서 구조 잡기

04 CSS 기본 지식 익히기

   Section 1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SS) 이해하기

   Section 2 CSS HTML의 상호작용 원리

   Section 3 CSS 일반 규칙과 CSS3에서 추가된 속성

05장 간단 예제로 배우는 HTML5의 멀티미디어 태그

   Section 1 video 태그 활용하기

   Section 2 audio 태그 활용하기

   Section 3 embed 태그 활용하기

   Section 4 canvas 태그 맛보기



_
주요 내용

웹 표준 시대의 NEW 웹 개발을 생각한다

과거의 웹 개발 방식은 깡그리 잊자!

아직도 테이블 태그로 디자인 레이아웃을 만들고 있습니까? 여전히 HTML 코드에 디자인 속성을 덕지덕지 붙이고 있습니까? 웹 디자이너가 이제나저제나 디자인만 해주기를 기다리고 있는 웹 개발자입니까? 유지보수 문제로 매일 밤을 지새우고 있지는 않나요? 웹 디자이너로 웹 개발자로 구인을 해야 하는데 무엇을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지 모른다고요?

지금 당장 웹 표준 공부를 시작하십시오.

HTML5 CSS3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과거의 버전에 새로운 철학(구조와 표현의 분리)이 만나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맞게 없앨 것은 없애고 필요한 것은 새로 추가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보다 웹 표준의 개발 방식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운 태그나 문법이 중요한 게 아닙니다. 구조와 표현을 분리하여 사이트를 설계하고 사용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 책이 지향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입니다.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도 볼 수 있습니다.

웹 표준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나 디자이너도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으로?

HTML은 구조만 잡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히!!!

CSS로 디자인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실전 웹사이트 제작으로 실전 능력까지 한방에!!!.


_
편집자 코멘트

이 책의 집필을 시작할 즈음에 저자는 두바이에서 어느 유명 호텔의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한 상태였습니다. 당시에는 XHTML1.0 기준으로 CSS로 사이트 디자인을 제어하는 웹 표준 개발 방식이었습니다. 그런데 집필이 완료된 즈음에 웹사이트 리뉴얼을 했다는 얘기를 듣고 사이트를 방문해보았는데, 편집자인 저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짧은 시간에 완전히 다른 사이트 같이 리뉴얼을 해놓았을까? 바로 새로운 웹 개발 방식의 힘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웹 표준의 개발 방식? 이제는 대세입니다.

_저자 소개

양용석 ugpapa@gmail.com

두산정보통신 인터넷 사업팀에서 첫 직장생활을 시작으로, 두산 그룹, 국제 유도연맹, 두산 베어스 등의 웹사이트를 개발했다. 그 후 다양한 인터넷 회사에서 웹사이트를 개발하였고 지금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두바이 아시아나 호텔 사이트를 개발했다.

제주대학교에서 정보공학(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제주도에서 아내와 두 딸 그리고 아들과 함께 살고 있다.

                                                                                                _

posted by 로드북
: